top of page

2024

이미지에서 데이터로, 그리고 회화로

김가은 (김가은미술사무소 대표)

캔버스 위에 각기 다른 투명도를 가진 여러 색의 물감이 겹겹이 쌓인다. 원이나 선과 같은 기하학적 조형 요소가 반복되며, 복제 가능한 디지털 공간을 연상시키는 화면을 구성한다. 추상회화작품에서 드러나는 수행성이나 물질성을 절제하고, 가까이서 직접 보지 않으면 디지털 이미지를 프린트한 것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화면을 균질하게 구성하여, 시각 외의 다른 감각들을 최소한으로 자극한다. 어떤 것이 지나간 흔적인지, 무엇인가 흔들리는 상태인지, 데이터로 치환된 특정 의미 단위인지 모호한 채로 이 조형 요소들은 경계를 흐리거나 혹은 반대로 강조하면서 화면 속을 부유한다. 물리적 현존성이 결여되고 비선형적인 시간성을 지닌 디지털 환경을 시각화한 캔버스 너머의 세계에서 우리는 무엇을 포착할 수 있을까.

 

소실되는 기억에 대한 불안
설고은은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이 느끼는 상실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불안에 대해 고민하면서 자신의 경험이나 기억을 데이터화하여 회화에 반영한다. 그의 기억은 과거의 사진이나 영상, 때로는 지인과의 문자메시지 내용 등을 매개로 구축된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이 “시간이 흐르면서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 그러한 측면에서 그의 작품은 컴퓨터에 파일을 복사하여 저장하듯 파편화되어 흐릿해진 과거의 기억을 화면 속에 붙잡아 두려는 열망을 드러낸다.​ 

 

<찾을 수 없는 너의 흔적을 찾아 조슈아 트리 공원을 검색하지만 유튜브의 짧은 영상들은 끝없이 돌아가는 회전문처럼 연결되지만 연결되지 못한 누군가의 기억으로 나를 인도한 다>(2022-24)에서는 소통의 단절감, 디지털 알고리즘의 무의미한 반복성, 방향성을 잃은 수동 적인 태도, 그리고 그것을 경험하는 또렷하지 못한 의식 상태 등을 읽어낼 수 있다. 이 작품 은 20개의 레이어가 쌓인 112개의 캔버스로 구성된 것으로, 각 레이어에 컬러코드, 형태, 투 명도 등의 정보 값이 지정되어 있다. 복제성, 반복성, 투명성 그리고 광학적 효과 등 디지털 시각 이미지가 가진 특징을 강조하는 이 추상회화는 정교한 붓질과 에어브러시를 통해 작가의 시간과 손길이 축적된 결과물이다.

아무리 치밀하게 새겨놓는다고 할지라도 기억을 온전히 보존하기란 쉽지 않다. 기억은 시각 이미지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 후각, 촉각 등 몸의 여러 기관을 통해서 감각된 것들이 다양한 감정과 함께 복합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에 가깝다. 망각하고 있던 이미지나 감 정이 특정 향기나 소리에 의해 소환되는 경우는 드물지 않으며, 그것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재편되는 가변적인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은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이 『물질과 기억』에서 기억을 과거 사건의 재현이나 정보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의 삶의 흐름 속에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던 관점, 그리고 한병철이 『서사의 위기』 를 통해 기억은 경험한 모든 것의 기계적 반복이 아니라 사건들을 새롭게 연결하고 재구성하 는 서사라고 표현한 부분과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1)

설고은의 작업은 기억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회화작품에 기록함으로써 소실되는 것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는 사라지는 기억을 붙잡는 행위가 맥락을 잃은 기억 의 파편들을 구성하는 단편적인 정보의 축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기억을 되새기며 데이터화하여 재구성하는 이 일련의 과정은 기억이 소실될 시점을 한 번 더 유예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넘쳐나는 정보들을 처리하며 하루에도 몇 번씩 수많은 사진과 동영상을 찍어 휴대폰 에 쌓아두고, 불필요한 문자메시지와 파일까지 모두 강박적으로 백업시켜 놓음으로써 경험과 기억을 언제든지 꺼내볼 수 있다고 무심코 판단한다. 일상 속에서 경험들을 기록하고 저장하 는 활동, 어쩌면 때로는 기억 그 자체까지도 디지털 공간에 위임하고 있는 것이다. 파편화된 기억을 붙잡으려는 시도가 불가능할 것임을 알면서 작업을 지속하는 설고은의 추상회화를 마 주하면, 평범하게 스쳐지나 가는 일상의 기억이 가진 무게감을 다시 한 번 체감하게 된다.

디지털 시대의 정서적 공허

디지털 매체를 통해 멀리 떨어진 타인과 소통할 때 대면으로 소통할 때와는 다른 상태를 경험 한다. 아무리 서로의 일상을 촘촘하게 공유하더라도 같은 공간에 함께 있는 것과 같을 수 없 으며, 일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착각하게 되어 결국 허무함과 상실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 다. 작가는 이 상태를 ‘기만적’이라고 표현한다. 디지털 매체는 즉각적이고 편리하여 상대방과 의 물리적 거리를 자각하지 못하게 만들지만 실제의 감각적 경험은 불완전하다. 완전한 연결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감지하는 순간 깊은 절망에 빠지게 되며, 이는 단순한 상대의 부재를 넘어서는 강렬한 정서적 결핍으로 이어진다.

디지털 공간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방대한 양의 이미지와 데이터가 끊임없이 교체되며, 이전 화면에 나타난 이미지의 흔적이 잔상으로 남는다. 특별한 행위를 수행하지 않아도 하나 의 이미지가 다른 하나로 대체되는 것은 너무나 흔하며, 원치 않는 이미지가 갑작스럽게 등장 하는 순간조차 알아차리지 못할 만큼 디지털 환경에서 이미지의 교체는 일상적인 현상이 되었 다. 설고은의 <로딩을 기다리는 중의 로딩을 기다리는 중의 로딩을 기다림>(2021)이나 <새벽 3시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보여줬다 재생했다 이어졌다 확산했다 연결했다 단절했다 다시 시작 한다>(2021)는 그러한 디지털 공간 속 움직임과 잔상을 시각적으로 포착한다. 이 작품들은 앞 서 소개한 작품과 시각적으로는 유사하게 여러 크기와 색깔의 네모나 불규칙적인 곡선 등의 조형요소들을 여러 겹 쌓아올려 심연을 알 수 없는 가상현실을 표현한다. 작품의 제목에서도 보이듯이 디지털 경험의 무의미한 반복성, 덧없음, 그리고 단절감이 고스란히 전달된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경험은 종종 수동적이며 방향성을 잃기 쉽다, 이러한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주의력이 분산되고 무기력해진다. 이는 빌렘 플루서(Vilém Flusser)의 이론을 상기 시킨다. 그는 『사물과 비사물』에서 기술발전이 가져온 상황을 묘사하며, 정보라는 비사물이 기존에 중심적이었던 사물들을 몰아내고 환경을 장악하려하는 시대적 변화를 통찰력 있게 분 석했다. 플루서는 컴퓨터 메모리와 같이 손으로 붙잡을 수 없는 것들을 비사물이라고 보았고, 비사물이 중심이 된 미래의 사회에서 손은 탐색도, 창조도 할 수 없게 되어 단지 잉여가 될 뿐이라고 경고하면서, 비사물적인 미래의 인간은 타자기나 피아노의 키를 누르는 손가락 끝 덕분에 현존할 것이라고 상상했다.2) 그 모습은 하루 종일 손가락 끝으로 휴대폰의 터치스크린을 쓸어올리는 행위를 반복하는 현대인의 일상과 놀랄 정도로 맞닿아 있다.

디지털 공간과 그 너머의 회화

설고은의 작업은 동시대의 디지털 환경이 초래하는 상실감을 직접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빠르게 변화하고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그로 인해 영향을 받는 인간의 인식체계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 연구자의 태도를 보여준다. 특히 비물질적인 디지털 환경과는 대조적인,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물성을 지닌 회화를 매체로 선택했다는 점에 주목해볼 수 있다.

작가는 자신의 초기 작업이 디지털 시각언어가 회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출발했다고 설명한다. 그는 디지털 기술과 함께 자라온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서, 인터넷 화 면의 지나치게 선명한 색상과 회화작품에서 나타나는 색감 사이의 괴리를 체감했다. 이러한 주제는 그가 작업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여러 단계를 거치며 지금의 작품에 이르게 되었다. <God from the Machine>(2018)에서 그는 디지털 시각 매체의 특징을 보이는 선과 색으로 구성된 추상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는 인간 형상을 표현하여 구상과 추상이 혼재된 특성을 드러냈다. 이후 작가는 특정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재현적인 회화보다는 디지털 공간을 경험하며 생겨나는 혼란스러운 정서 그 자체를 표현하고자 구상적 요소들을 배제하고 완전한 추상으로 나아갔다. <Spaced I>(2019)에서 원, 사각형, 그리드 등 적극적으로 기하학적인 도형을 사용하여 디지털 가상공간을 표현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최근 의 작업에서도 발견되는 특징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그의 최근 작품들은 기하학적 도형을 비롯한 여러 조형요소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레이어들을 쌓는다는 점에서 이전 작업과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usually summer>(2024)와 <aging simulator>(2024) 등의 작품에서는 물리적으로 축적되는 레이어의 시각적 효과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각 레이어들이 가지는 표현의 질감은 거칠기도 매끄럽기도 하며, 유광과 무광을 모두 사용하면서 두께 역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일관된 질서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곳곳에서 균열을 발견할 수 있다. 이전의 작품들이 비교적 투명한 레이어를 통해 점멸하고 부유하는 이미지들을 표현했다면, 최근 작업들에서는 좀 더 진하고 두터운 레이어의 색과 색 사이의 경계에서 발행하는 진동의 이미지를 표한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시한다.

디지털 시각 환경이 회화라는 전통매체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적극 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회화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 자체로도 설고은의 작업은 다층적인 성찰을 담고 있다. 그것은 디지털 시대 전통매체인 회화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고 있는 동시에, 물질과 비물질, 가상과 실재, 영속과 소멸, 연결과 단절과 같은 주제들이 마치 레이어가 많은 그의 회화처럼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것이다. 작가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규칙적인 조형요소들과 그것의 균열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질서와 혼돈사이의 긴장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데이터화된 이미지와 그것의 레이어가 질서를 유지하는 한편, 그 속에 자리한 혼돈과 불안은 부유하고 진동하는 감각으로 전이되어 보는 이들이게 더욱 깊은 정서적 교감을 이끌어낸다.

1) 앙리 베르그손, 『물질과 기억』, 박종원 옮김, 아카넷, 2005; 한병철, 『서사의 위기』, 최지수 옮김, 다 산북스, 2023, p. 83.

2) 빌렘 플루서, 『사물과 비사물』, 김태희・김태한 옮김, 필로소픽, 2023, pp. 141-42.

From Images to Data, to Painting

Kaeun Kim (Director of KKim Art Research Institute)

Paints of several colors, all in varying translucence, pile on top of the canvas. Geometric structural elements such as circles or lines repeat themselves, and the canvas is reminiscent of a fungible digital space. Refraining from the materiality and performativity seen in abstract paintings, Gwen Seol’s paintings are so even in texture that unless you view them from up close you are likely to mistake them for digital prints. Her work minimizes stimulating any sense outside of sight. Unclear as to what is a passing remnant, what is in the process of being shaken or disturbed, or what specific units of meaning have been converted into data, the structural elements remain ambiguous. Drifting across the canvas, these structural elements blur boundaries and, at other times, highlight them. What can we find beyond the canvas that visualizes a digital environment deficient in physical presentness and non-linear in temporality?

Anxiety over Fading Memories
Through her rumination on the sense of loss in the digital age and the anxiety that stems from there on, Gwen Seol converts her personal experiences into data and then applies that data to her painting. Photos and videos from her past, text messages, and conversations construct the backbone of her memories. Seol has said that her work begins “an interest in the things that disappear with the passage of time.” In that context, her work displays an urge to grasp faded fragments of memories and capturing them on canvas, similar to how we copy files and save them in a computer.

 

Looking up Joshua Tree Park with the hope of finding your untraceable trace, but YouTube shorts connect me to someone’s disconnected memory that never ceases to stop like a revolving door (2022-24) conveys a feeling of being cut off, from communication, meaningless repetitiveness of digital algorithms, passive demeanor that results from being lost, and an unclear state of consciousness that experiences it all. This piece consists of 112 canvases, each painted with 20 different layers, with each layer assigned specific information including color codes, forms, and levels of translucency. While this abstract painting stresses the properties of digital images such as fungibility, repetitiveness, translucence, and optical effects, it also serves as the accumulation of the artist’s time and handiwork, constructed through elaborate brushwork and airbrush techniques.

 

No matter how thoroughly you engrave it into your mind, preserving a memory is no easy task. A memory is not simply about storing visual snapshots; it is closer to a complex rearrangement of various emotions drawn from bodily senses, including auditory, olfactory, and tactile experiences. It is not uncommon for long-forgotten images and emotions to be recalled by certain scents or sounds, and these memories are susceptible to constant revisions and variability as time passes. In his book Matter and Memory, French philosopher Henri Bergson argues that memories are not a reconstruction of past events or a record of information but a continuous process that interacts with the flow of our present lives. In a similar light, Byungchul Han’s The Crisis of Narration discusses how memories are not mechanical repetitions of experiences but a narrative that creates new connections to past events and restructures
them.1) 

Gwen Seol’s work attempts to pacify the anxiety of loss by converting memories into data and then documenting that data through paintings. Paradoxically, however, it makes us realize that the act of clinging to fading memories is nothing more than stacking together pieces of memory fragments that have lost their context. Still, the process of recalling memories, converting them into data, and rearranging them offers yet another opportunity to delay the point at which a memory is lost. We constantly process a flood of data, storing countless photographs and videos in our phones on a daily basis. We even force ourselves to back up unnecessary text messages and files, fooling ourselves into thinking that we can retrieve an experience or memory at will. In essence, we entrust the task of documenting and storing our daily life experiences—and in a sense, the very act of remembering—to a digital space. When faced with Seol’s work, which she continues despite the knowledge that clinging to fragmented memories, we perceive the gravity of our memories of everyday life that normally pass us by.

 

The Emotional Void of the Digital Era
Communicating with someone far away through digital media, provides a different experience from talking to someone in person. No matter how many details about our lives we share digitally, it cannot be the same as being together in the same place. Digital communication creates the illusion of being temporarily connected but leaves emptiness with a sense of loss. Seol calls this “deceptive.” Digital media is instant and convenient, deceptive of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people, but falls short of the actual sensory experience. The realization of an incomplete digital connection can escalate into an intense emotional deprivation that extends beyond the mere absence of the other person.

 

In digital space, an enormous amount of images and data is endlessly displaced, and the image that just left the screen lingers as an afterimage. It is all too common for one image to be replaced by another without having to execute any special action. The displacement of images is an everyday occurrence in a digital environment, to the point where we become uncertain about the exact moment when an unwanted image suddenly appears on the screen. Seol’s Wait for Loading While Waiting for Loading While Waiting for It to Load (2021) and YouTube Algorithm 3AM in the Morning Showed, Played, Connected, Circulated, Disconnected. Rinse, Repeat (2021) offer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movements and afterimages that occur in such digital spaces. Along with the aforementioned pieces, these two paintings employ geometric elements like squares and irregular curved lines of multiple sizes and colors, layering them on top of each other to depict a virtual reality whose depth is unknowable. As the title suggests, Seol’s paintings convey meaningless repetitiveness, futility, and a sense of isolation inherent to digital experiences.

 

Experiences in digital environments are often passive, and it is easy to lose a sense of direction. Being repeatedly exposed to such environments scatters focus and saps energy. This is reminiscent of the theories of Czech philosopher Vilém Flusser. In Things and Non-Things, he describes the changes brought on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insightfully dissecting the gener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which “non-things” like data are attempting to take over the center stage that was once occupied by physical things. Flusser categorizes intangible things like computer memory as non-things, warning us that a future society centered around non-things will result in our hands being rendered incapable of exploring or creating, making them superfluous. He imagines that humans in this future of non-things will owe their existence to tactile experiences such as playing a piano or pressing the keys of a typewriter. 2) This image is remarkably similar to contemporary humans who spend their entire day repeatedly swiping the touchscreens of their mobile devices. 

Rather than directly criticizing the sense of loss induced by contemporary digital environments, Seol readily embrace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and responds, with the attitude of a researcher who thoroughly explores the systems of human perception that are influenced by such environments. It is particularly notable that she chooses to paint, a tangible medium that possesses materiality and directly contrasts to the non-things of digital environments.

 

Seol says her early work started with an interest in the digital visual language’s influence on painting. As a member of a generation of ‘digital natives’ who grew up with digital technology, she sensed the gap between the excessively sharp digital colors of internet screens and the pigment-based colors in paintings.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her work, this theme has evolved through several phases into her current paintings. In God from the Machine series (2018), she creates an abstract background of lines and colors that exhibit the properties of digital visual media, adding metallic human figures, resulting in a mix of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Later on, instead of painting images that attempt to recreate specific digital images, she opts to express the emotional chaos induced by digital experiences by removing all representational elements and focusing exclusively on the abstract. In Spaced I (2019), she started to depict digital spaces by proactively employing geometric shapes like circles, quadrilaterals, and grids, an endeavor apparent in her recent
work.

 

Seol’s latest work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is a continuation of her earlier work in that they feature the repeated use of structural elements like geometric shapes to create layers. As evident in works like usually summer (2024) and aging simulator (2024), the visual impact of physically stacked layers is particularly emphasized. Each layer displays a range of textures, from coarse to smooth, a distinct sheen—either glossy or matte—and varying levels of thicknesses. Consistent order and patterns are visibly present, but deviances from such order are visible here and there. Her earlier pieces employed relatively translucent layers to create flickering, floating images, while her recent work employs richer, thicker layers to express the vibrations that occur on the borders between di,erent colors, resulting in a new visual experience.

 

Aggressively using digital technology to create her paintings, Seol provides multiple layers of introspection as she explores the influence of digital visual environments on the traditional medium of painting. Her work poses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medium of paint in a digital era. At the same time, they present motifs like things and non-things, virtual and physical, permanence and transience, connectivity and isolation—all intricately entangled with each other like the numerous layers on her paintings. Seol focuses on the repeated appearance of structural elements and the fissures that form between them to depict the tension between order and chaos. Images converted to data and stacked into layers maintain order while the chaos and anxiety within them float around or emit vibrating sensations, inviting the viewer to a deeper emotional connection.

​1) Henri Bergson, Matter and Memory, trans. Jongwon Park(Seoul: Acanet, 2005).; Byungchul Han, The Crisis of Narration, trans. Jisoo Choi(Paju: Dasan Books, 2023), p. 83.

2) Vilém Flusser, Things and Non-Things, trans. Taehee Kim, Taehwan Kim (Seoul: Philosophik, 2023), p. 141-42.

2022

세 명의 미술가, 세 가지 평면: 인터페이스 / 소용돌이 / 펼치기

설고은 – 디지털 심리-조감도와 인터페이스로서의 회화

 

김예지, 독립 기획자

 

 

쉼없이 발광하던 모니터가 더 이상 무언가 보여주기를 중단하는 순간, 광택만이 남은 검은 유리위로 잔영이 아른거리는 때가 있다. 설고은은 이처럼 디지털 환경에서 지나친 섬광들이 눈자위에 남긴 잔상을 포착해 그린다. 작업은 화면에 몰아치던 ‘창’과 ‘탭’의 너울 사이에서 무엇을 봤는지 되새기며 시작한다. 빛무리 진 기억 저편 방울처럼 피어오르는 인상을 지켜보던 작가는 무수히 점멸하던 데이터의 잔흔이 기하 추상화되어 의식의 수면 위로 튀어 오름을 느꼈다. 스크롤의 조류를 타고 흘러 다니던 글과 그림으로부터 일어난 물거품은 감상에 따라 저마다 다른 모양과 색으로 솟아올라 작품의 구성단위가 되었다.

설고은은 정해진 수심없이 무한히 깊어질 수 있는 정보의 바다가 얄팍한 모니터에 눌린 평면으로 비치는 점에 주목한다. 〈Spaced〉(2019) 연작은 이러한 특징에 착안해 액정 디스플레이상 납작이 뭉개져 버린 대상들에게 볼륨을 부여하고, 회화적 공간에서 다시금 배치해 보려는 시도다. 전자 회로를 거치며 픽셀 단위로 부서져 스크린을 부유하던 현실 세계의 물질들은 여기서 재차 안료의 물성을 가진 기하학적 조형 단위로 변환되어 캔버스의 물리적 조건 위에 소생되었다. 이들은 직물의 저변을 파고 들어가는 환영적 공간 안에서 여럿으로 복제되며, 다양한 크기와 양감으로 조정되어 배열되고, 포개지고, 충돌과 조화를 거듭해 갔다. 붓질로 연성된 질량과 부피를 가지면서도 디지털 세계의 경험 방식으로 도식화된 회화는 투명한 벽을 사이에 두고 시선으로써 유랑하던 가상공간의 충실한 유비가 된다.

인터넷 공간을 방랑하는 작가의 심리적 경험을 그곳의 지형지물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회고에 담아 재구성하는 기제에서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 Internationale Situationiste  의 심리지리Psychogéographie가 연상되기도 한다. 하지만 상황주의자들이 대로화된 도시의 획일성과 시각적 질서를 거슬러 자유롭고 유희적인 방황으로서 표류가 가능한 경로를 제시했던 것과 달리, 알고리즘의 감시 체제 아래 필터링 된 물살이 거세게 작용하는 네트워크 속을 유영하는 이들에게 그것을 가르고 회피할 수 있는길이란 실상 요연하다. 결국〈위치없는 것들의 위치를 찾으려면 먼저 나의 위치를 알아야 하지만 내가있는지금이순간의 나의 위치를 알 수 없어 위치없는것들의 위치를 찾으려는 노력은 허사로 돌아간다〉(2021)고 고백하는 설고은의 작업은 조류에 휩쓸려 다닐 뿐이던 인터넷 서핑을 마치고, 길 잃은 노정의 대강적인 조감도를 그려 보려는 사후적 노력에 그친다.

그러나 억압적인 가상 세계의 지리를 작가 개인의 감회에 의거해 변용하는 그의 그림은 회화적 환영을 통해 스크린 액정 너머의 실제 공간에서 지난 여정을 새롭게 접속하게끔 잇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작가는 최근 지나온 가상 공간을 대안적 내러티브로 다시금 관통하는 접속 장치로서의 회화를 고민하며 제어된 통신 경로를 선회하는 예리한 굴절각을 그려내는 데 몰두하고 있다. 본디 인터넷 환경의 엄격한 통제와 지각의 현혹을 위해 활용되던 기술적 메커니즘을 회화적 표현 기법으로 전용하는 근래의 작업 방식도 그러한 시도의 일환이다. 은은히 비치는 금속성 색채의 반사광과 에어브러시의 사용으로 붓자국 하나 남지않게 된 신작의 표면은 가공된 유리에 버금가는 매끈함을 자랑한다. 엷은 투명도로 그려진 색면들 역시 살짝씩 겹치며 퍼져 나가는 잔영의 산란을 디지털적인 유려함으로 구현해 내고 있다. 작품의 구성 또한 새로운 벡터를 만나 3×3 비율의 그리드로 분할된 캔버스가 각각 좌표를 가진 모듈로서 평면 그래프상에 배치되는 체계로 점차 프로그램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로딩을 기다리는 중의 로딩을 기다리는 중의 로딩을 기다림〉(2021) 이라는 이름처럼 무한한 루프를 그리는 화면 속 방향 상실을 체험케하는 설고은의 작품은 번듯이 구획된 사이버 도시공간에 일시적 정주와 우회의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천편일률적인 경관 속 감춰진 경이를 향한 조우의 회로를 열어 줄 수 있다. 부지불식간에 디지털 그래픽과 규율에 만연히 노출되는 시대, 그것이 주관적으로 경험되고 회고된 양태를 재현하는 그의 회화는 그러므로 도처의 사이니지와 스마트 기기가 장악한 동시대 도시의 풍경까지도 생동하는 유람의 감각으로 해방 가능한 잠재력을 담지한다.

Three Painters, Three Squares: Interface / Vortex / Unfolding

Gwen Seol – Painting as a Digital Psychological Bird’s Eye View and Interface

 

Kim Yeji, Independent Curator

There are moments when the monitor that once emitted light incessantly stops showing and the residual glow glimmers across the black screen. Seol works in a digital environment to capture and draw the afterimage of the flashes left on her eyes. Her work begins by reflecting on what the eyes saw between the waves of “windows” and “tabs” that rush onto the screen. While observing the rising impression resembling drops beyond the pool of memories, Seol felt the traces of the data –flickering beyond count– taking geometric abstract forms and bouncing upward through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The foam created from texts and images, which flow on the currents of scrolling, soar upwards in idiosyncratic shapes and colors, according to its own impression to become the group unit of the work.

Seol heeds the fact that the sea of information, which can deepen indefinitely without a predetermined depth, is pressed by the flat monitor and presented as a shallow surface. Focusing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series of Spaced (2019) gives volume to flattened objects on LCD screen as an attempt to reassemble them in a pictorial space. Substances in the real world float on the screen, which were broken down into pixels after passing through electronic circuits, are again converted into geometric shapes of units with pigments and are revived on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canvas. They are multiplied into many while seeping through the base of the fabric that goes into the illusory space; they are assembled and imbricated after being adjusted into various shapes and volumes as they repeat the process of collision and harmony.

 

The mechanism of reconstruct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artist wandering through the space of internet space in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retrospective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place reminds the viewer of the psychogéographie of the Internationale Situationiste. However, unlike the situationists who suggested a path that drifts free and playful wandering against the uniformity and visual order of the city, it is evident that under the surveillance system of algorithm, filtered currents are the way to separate and avoid them for those who swim through a strong network. In the end, as the artist confesses in The Attempt to Locate the Things without Location Goes Futile Because that Knowledge Presupposes the Knowledge of My Own Location which Alludes Me at the Moment (2021), her work is limited to post-mortem efforts to finish surfing the internet which was only swept away by the tide, and to draw a rough bird’s eye view of the lost route.

 

However, her works, which transform the geography of the repressive virtual world based on her individual impressions, can function as an interface that leads to a new connection to the past journey in a real space beyond the screen’s liquid crystal. Accordingly, the artist ruminates on drawing a shape angle of refraction that turns around the controlled communication path, contemplating conversation as a connection device that penetrates the recently passed virtual space as an alternative narrative. The surface of the recent work, which has no brush strokes due to the use of reflective light of subtle metallic colors and air brushes, boasts a smoothness comparable to processed glass. The colors painted with light transparency also embody the scattering of the remnants spreading slightly overlapping with digital splendor. The composition of the work also tends to gradually program into a system in which the canvas is divided into a 3x3 grid and meets a new vector; this is placed on a plane graph as a module with coordinates.

 

Seol’s work, Wait for Loading While Waiting for Loading While Waiting for It to Load (2021), which allows the viewer to experience a loss of direction (as a direct reference to the title) with the endless loop on the surface, can open a circuit of encounter in a monotonous landscape 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emporary settlement and detour in the busy cyber city space. In an era of unwittingly widespread exposure to digital graphics and regulations, her works reproduce the subjectively experienced and retrospective aspects; thus containing the potential to be liberated with a sense of wandering that revives signage and contemporary urban landscapes dominated by smart devices.

© 2022 by Koeun Gwen Seol 

bottom of page